Web3 프로젝트

블록체인 부동산 거래 플랫폼

Dev_2H 2023. 3. 27.
반응형
AnBang 안(安)방  Project

 

프로젝트 기획 의도

2022년 말, 부동산 업계에 시끌벅적했던 전세 관련 사건 사고가 많았습니다. 대표적인 사건으로는 투명한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깡통 전세 사기" 부터 부동산 공인중개사와 집주인이 공모하여 임대인을 상대로 사기를 공모했던 사건들이 있었습니다. 공인중개사는 법적으로 제한되어 있는 중개 수수료를 받기 위해 집값의 가격을 투명하게 반영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부동산 거래를 위해서는 거의 필수적으로 공인중개사를 이용하여 거래를 진행해야 하지만, 부동산 거래 질서가 교란된 상황에서 서로를 신뢰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저는 이러한 문제들을 블록체인과 NFT를 도입한다면 제 3자의 중개없이 임차인과 임대인의 직거래가 가능한 플랫폼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하고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실제로 진행했던 과정, 설계 과정, 문제점 등 대부분을 정리해두었습니다.

궁금한 점은 댓글 혹은 메일로 문의바랍니다.

 


기존 부동산 거래 문제점 파악

 

1. 부동산 거래를 보증해줄 법의 허점이 존재하고 있음

 

임차인은 부동산 거래의 대항력을 갖기 위해선 부동산 거래 이후 전입 신고를 진행합니다.

글을 쓰고 있는 지금 기준으로는 전입 신고 대항력은 다음 날 00시 기준으로 법적으로 효력을 갖게 됩니다.

실제로 이를 악용해서 전세 대출을 받거나 명의를 변경하거나 하는 계약 위조 문제들이 발생하였습니다.

 

2. 믿을 수 없는 공인중개사 

 

일부 공인중개사들이 사기를 공모하는 경우가 있었고, 중개수수료를 받아야 하는 입장이 되어버렸음

임차인은 높은 수수료를 지불하고도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받을 수 없습니다.

 

 

 


 

대책은 없는 것인가?

https://youtu.be/flno3DC7HHk

 

2023년 3월 27일 기준 한국에서 아직까진 없다

 

해외에선 한국처럼 전세 개념이 없기 때문에 단순 부동산 매매 플랫폼은 존재하고 있다.

 

 


Web 3.0 과 블록체인 분산원장의 도입

 

1. 계약서 위변조 방지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을 이용해서 계약서를 작성합니다.

 

스마트 컨트랙트로 작성한 계약서는 다시 수정할 수 없기 때문에 위조와 변조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누구든지 필요하면 온라인에서 계약서를 확인할 수 있어서 가격과 정보를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중개 수수료가 없음

기존 부동산 거래를 하면 "복비" 라는 중개수수료를 공인중개사에게 제공해야 합니다.

 

안방 플랫폼에선 어떠한 비지니스 모델을 선택하느냐에 다르겠지만

고정된 중개수수료 책정으로 인해 부동산 값에 영향이 가지 않습니다.

기존보다 훨씬 낮은 수수료로 제공하거나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3. 모든 부동산 정보를 NFT로 저장

임차인과 임대인은 NFT를 거래하면서 부동산 소유권을 즉시 주장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을 NFT로 저장함으로 허위매물이 존재할 수 없습니다.

변경이 필요한 부동산 NFT 정보들은 플랫폼에서 확인 후 표시하지 않습니다.

 

4. 토큰을 활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플랫폼 활성화를 위해서 이용자에게 플랫폼 자체 토큰을 제공

토큰은 부동산 관련 부가 서비스와 연계해서 사용 가능 ( 이사, 청소 등 ) 

부동산 허위 정보를 신고한 이용자에게 토큰을 제공

 

 


정보의 검증을 위한 기술 설명

 

1. 등기부 등본 검증

등기부 등본 API 를 통해 건물 주인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부동산 매물 등록(NFT) 불가능

 

2. 에스크로와 관리자 최후 검증

모든 거래는 스테이블 코인 ( USDC ) 의 보유 확인을 위해 에스크로가 정보 검증

온라인과 현실의 간극을 줄이기 위해 관리자도 최종 거래에서 투표를 진행 

 

3. 모든 계약서는 블록체인 분산원장으로

계약서의 유효성과 위변조 불가하다는 장점 제공 가능

NFT의 거래가 발생하면 부동산의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

 

4. 잘못된 정보 검증 가능

잘못된 정보를 신고하면 보상과 처벌 제도를 마련했습니다.

허위 정보를 미연에 방지하고 오류가 발생된 부동산은 거래를 중지할 수 있습니다.

 

 

 

 


시연 영상 및 소개

https://github.com/codestates-beb/BEB-07-anbang

 

GitHub - codestates-beb/BEB-07-anbang

Contribute to codestates-beb/BEB-07-anbang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어려웠던 점

사실 기존에 없는 플랫폼을 개발하는 것이라서 문제 뒤에 문제의 연속이었다...

어느정도 생각나는 어려움을 정리해보자면

 

1. 부동산 거래라는 현실과 온라인 세상에서 거래를 진행한다는 것의 간극을 줄이는 것

등기부 등본 API 라는 것을 도입해서 최대한 간극을 줄일려고 노력했고 어느정도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2. 토큰 이코노미를 어떠한 방식으로 풀어가야 하는가 블록체인 이코노미에서 토큰은 필수적인가... 

아마도 시간을 제일 투자한 것 같다

[참고자료] Some Simple Economics of the blockchain 

https://www.nber.org/system/files/working_papers/w22952/w22952.pdf

 

3. 운영 비용을 낮추기 위해 어떻게 해야하는가?

이건 사실 가스 비용을 낮추는 거라 메인넷을 이더리움에서 클레이튼으로 바꿔서 해결할 수 있었다.

 

4. 관리자가 어떻게 관리 감독이 실시간으로 가능한가?

이건 다른 Web2.0에서 성공한 기업들을 많이 찾아봤지만 처음엔 수작업으로 하셨다고....

처음엔 사람이 하다가 인력을 늘리는 방식을 생각했지만 

지금보면 OpenAI 도입해서 검증만 도입한다면 쉽게 해결할 수 있을 것 같다.

 

5. 비지니스 모델은 어떻게...? ( 돈은 어떻게...? )

이건 정부형 프로젝트로 진행해서 무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던가

그냥 Web2.0 처럼 수수료를 책정해서 진행하던가 고르면 되는 문제였다

 


배포를 못한 이유?

구상하였던 모든 것들은 다 개발하였고 테스트까지 완료해서 배포가 언제든지 가능했다.

하지만 배포를 진행하지 않았다.

 

가장 큰 문제는 법률적인 문제가 컸다. 

플랫폼 특성 상 트릴레마같은 문제처럼 정보의 검증을 위해선 개인 정보를 사이트가 들고 있어야 하고

부동산 거래라는 큰 법률적인 문제가....

 

에스크로 검증 기능도 추가해놨지만 법인 회사가 아니면 에스크로 계정을 발급해주지 않는다..ㅜ

 


마지막으로

사실 개발 당시 내가 부동산 거래로 고통받는 상황이여서 개발했었고

처음 구상하고 생각했던 기능들은 전부 개발할 수 있어서 괜찮았다.

누군가는 투자를 하고 싶어했고 투자를 진행시키고 싶어하는 주제였고....

 

 

실제 현업자들 사이에서도 신박하고 좋은 프로젝트였다는 걸 들었으니 개인적으로 만족했음 (해커톤 나갈껄)

다만 어떠한 서비스를 개발할 땐 법률 상담이 필수적이라는걸...

 

 

 

'Web3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3 기반 커뮤니티 프로젝트  (1) 2023.01.13
OpenSea 클론 프로젝트  (0) 2022.12.30

댓글